반응형 성장 기록26 [성장일기] 14주차, 중국 제품 사입 배송업체 조사하기 [회사 탈출 프로젝트 14주차] 13주 차에는 제품의 마진을 조금 더 세부적으로 계산해보았고 14주 차에는 대량 생산이 끝났다는 소식을 들어 배송 및 수입 절차를 알아보았다. 처음 공급 업체와 이야기를 나눴을 당시에는 DDP 지급 조건이 가능하다고 했었는데, 상황이 바뀌어 DDP 가격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10개 업체를 알아보았지만, 한국 세금이 높아져서 불가능하는 것. 잘 이해는 안 됐지만 어쨌든 우리가 배송하는 방법을 알아보기로 했다. *DDP는 Delivered Duty Paid, 매도인 관세 지급 인도조건. 수출자가 수입자의 지정장소에서 인도하는 조건으로 관세, 통관료, 운임, 보험료 등의 비용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수입자가 최소의 부담을 지는 조건이다. 우리는 처음부터 EXW 가격과 DDP 가격을.. 2022. 2. 3. [성장일기] 13주차, 제품의 마진 계산해 보기 [회사 탈출 프로젝트 13주차] 제품 대량 생산이 진행되는 13주 차에는 제품 퀄리티를 발전시켜보기 위해 국내 제조업체도 찾아보았지만, 높은 생산비로 인해 국내에서의 생산이 불가능했다. 그래서 두 번째 제품의 디벨롭을 위해 중국 제조 업체에서 추가 샘플을 요청해두고 첫 번째 제품의 마진을 계산해 보기로 했다. 이전에 상품을 소싱하며 대략적인 마진을 계산해 보았지만 생산비가 정확하게 결정된 만큼보다 정확한 마진을 산출할 필요가 있어 보였다. 먼저 우리가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내역들을 모조리 적고 마진을 계산해 보았다. 제품을 중국에서 제조할 때에는 상품 원가에 DDP(통관비+배송비) 비용까지 계산을 해야 하는지라 약간 헷갈렸다. 아직 상품 무게가 정확히 나오지 않아서 DDP 비용은 유동적이지만, 중국 .. 2022. 2. 2. [성장일기] 12주차-2, 패키지 주문 제작업체를 찾아서 [회사 탈출 프로젝트 12주차] 제품 디자인에 대한 부분이 어느정도 마무리가 되고, 제품을 포장할 패키지를 제작해야했다. 사실 계획대로라면, 제품 생산을 담당할 중국 업체에서 패키지도 함께 생산할 예정이였다. 하지만 샘플 퀄리티를 눈으로 확인하고 패키지 퀄리티도 의심이 가는 상황.... 일단 모든 것을 정지하고 국내 패키지 업체를 찾아보기로 했다. 우리가 제작할 패키지는 비닐 지퍼백으로 얇은 지퍼백이 아닌, 조금 두툼한 소재의 불투명 무광 지퍼백이었다. 국내 비닐 포장 주문 제작 업체를 총 6곳 찾아서 문의를 남겼고 아래와 같은 답변을 받았다. B사 : 해당 제품은 48,000장부터 제작이 가능함. H사 : 불투명 무광인쇄를 추가한 것으로 최소 수량은 57,000장이며, 대략 300~400만원 정도 나올.. 2022. 2. 1. [성장일기] 12주차-1, 알리바바에서 샘플을 받다(위기의 시작..?) [회사 탈출 프로젝트 12주차] 알리바바에서 주문했던 샘플이 도착했다. 언제 오나 실시간으로 배송 추적을 하며 확인했었는데, 드디어 받아보게 되었다. 알리바바 배송추적이 업데이트가 느린 건지, 생각보다 빨리 수령하게 다행이었다. 배송기간은 27일 월요일 주문~4일 화요일 도착했으니 주말 포함 총 8일이 걸린 셈. 사실 샘플은 사진으로 봤었던지라 크게 걱정하진 않았었는데, 실제로 받아보고 경악을 금지 못했다... 블로그에 상세히 기록할 수는 없지만 상태가 매우 심각한 샘플도 있었고 전반적으로 프린팅 상태가..우리의 기대 이하였다. 국내 업체도 아니고 중국 업체이기 때문에, 우리의 의사를 어떻게 전달해야 할지 막막하기도 했고 '이대로는 판매가 어렵겠다'라고 판단이 되었다. 여러 제조 업체를 비교해 보는 상황.. 2022. 1. 31.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