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탈출 프로젝트 13주차]
제품 대량 생산이 진행되는 13주 차에는 제품 퀄리티를 발전시켜보기 위해 국내 제조업체도 찾아보았지만, 높은 생산비로 인해 국내에서의 생산이 불가능했다. 그래서 두 번째 제품의 디벨롭을 위해 중국 제조 업체에서 추가 샘플을 요청해두고 첫 번째 제품의 마진을 계산해 보기로 했다.
이전에 상품을 소싱하며 대략적인 마진을 계산해 보았지만 생산비가 정확하게 결정된 만큼보다 정확한 마진을 산출할 필요가 있어 보였다.
먼저 우리가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내역들을 모조리 적고 마진을 계산해 보았다.
제품을 중국에서 제조할 때에는 상품 원가에 DDP(통관비+배송비) 비용까지 계산을 해야 하는지라 약간 헷갈렸다. 아직 상품 무게가 정확히 나오지 않아서 DDP 비용은 유동적이지만, 중국 제조업체가 알려준 금액을 토대로 개당 단가를 계산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정다르크님의 마진 계산기를 활용하여, 우리가 계산해 본 거랑 비교를 해보았다. 정다르크님의 마진 계산기는 우리가 계산한 금액보다 마진율이 좋아서 당황. 우리가 이전에 계산한 시트는 세금 부분에서 계산에 오류가 있는 듯 했다. 마진이 너무 적어서 고민하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희망적이었다!
마진 계산을 해보는 이유는 제품 1개당 얼마나 남을까(마진)를 보는 것도 있지만, 제품의 판매가를 결정할 때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미 경쟁자 분석을 통해 경쟁자의 제품들이 어느 정도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지 알고 있기 때문에, 우리 제품의 가격대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워낙 가격대가 낮은 제품이라 개당 마진 자체는 크지 않지만, 마진률은 괜찮아보인다.
'성장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장일기] 17주차, 상세페이지 기획하기 (0) | 2022.02.14 |
---|---|
[성장일기] 14주차, 중국 제품 사입 배송업체 조사하기 (0) | 2022.02.03 |
[성장일기] 12주차-2, 패키지 주문 제작업체를 찾아서 (0) | 2022.02.01 |
[성장일기] 12주차-1, 알리바바에서 샘플을 받다(위기의 시작..?) (0) | 2022.01.31 |
[성장일기] 10~11주차, 샘플 제작 및 패키지 디자인 (0) | 2022.01.30 |